전체 글694 아라키 아카네, < 세상 끝의 살인 > 세상 끝의 살인 은 재미있는 추리소설입니다. 일본의 최고 추리문학상인 에도가와 란포상을 받은 작품입니다. 그럼 책을 살펴볼까요!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세상 끝의 살인 두 달 후, 지구에 다가오는 소행성의 위협으로 인해 세계는 혼란에 빠진다. 일부 사람들은 임박한 재앙으로부터 도망치려 하고, 다른 이들은 절망에 빠져 자살을 선택한다. 또한, 사회질서가 무너지면서 강도와 약탈이 만연한다. 이러한 대재앙의 그림자 속에서, 23세의 하루는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운전면허를 따기로 결심하고 후쿠오카의 운전교습소를 찾는다. 그곳에서 그녀는 운전 강사와 함께 차량 트렁크에서 잔인하게 살해된 여성의 시체를 발견한다. 세상이 곧 멸망할지라도, 왜 살인을 저질렀는지, 그리고 왜 .. 2024. 1. 11. 한스 할터, < 죽음이 물었다 , 어떻게 살 거냐고 > 죽음이 물었다 , 어떻게 살 거냐고 는 삶을 열심히 살기 위해 알아야 할 죽음에 대해 말합니다. 위인들이 죽기 전에 어떠한 물음을 던졌는지를 알아보는 책인데요. 아주 흥미롭습니다! 그럼 책의 내용을 알아볼까요~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죽음이 물었다 , 어떻게 살 거냐고 모든 인간은 공정하게 태어나고 죽음을 맞이한다. 죽음은 삶의 필연적인 부분이며, 삶의 시작인 탄생처럼 자연스럽다. 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두려움과 끝으로 인식하지만, 실상은 삶의 연속이다. 죽음을 회피하고 싶은 우리의 마음은 죽음을 대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한스 할터 박사는 수년 간 의사로서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환자들을 돌보면서, 죽음을 통해 삶의 교훈을 배웠다고 전한다. 그는 죽음이 결국 우리.. 2024. 1. 11. 오은영, < 어떻게 놀아줘야 할까 > 어떻게 놀아줘야 할까 는 오은영 심리학자의 최신 저작입니다. 아이들과 어떻게 놀아줘야 그들의 인지가 발달할까요. 이 책에 답이 있습니다. 그럼 책을 볼까요!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어떻게 놀아줘야 할까 "어린이들은 놀이를 통해 성장하고 발달합니다. 놀이는 어린이들의 유아기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오은영 아이들이 놀고 싶어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하루 종일 놀고도 다시 놀고 싶어하는 그들의 에너지는 어디에서 오는 걸까요? 놀이는 단순한 즐거움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자신의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여러 가지를 배웁니다. 많은 부모님들이 놀이에 대해 고민하고 계십니다. 어떻게 함께 놀아줘야 하는지, 놀이 중.. 2024. 1. 10. 린디 엘킨스탠턴, <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 >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 은 편견에 대항하는 여성 과학자의 도전에 대한 책입니다. 감동적이면서도 충실한 정보를 담은 이 책에 대해 알아보아요~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젊은 여성 과학자의 초상 2023년 10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위치한 '16 프시케' 소행성으로 무인 탐사선을 발사했다. 이 프로젝트는 지구의 핵과 유사한 금속인 철과 니켈로 이루어진 태양계에서 가장 신비로운 물체 중 하나인 프시케 소행성을 탐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천문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이 프로젝트는 '행성의 핵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중요한 임무를 이끄는 인물은 여성 과학자 린디 엘킨스탠턴이다. 그녀.. 2024. 1. 10. 토마스 헤르토흐, < 시간의 기원 > 시간의 기원 을 탐구했던 스티븐 호킹 박사의 유산을 되짚어 봅니다. 참으로 난해한 이론들을 알기 쉽게 해설해 주는 책이네요. 그럼 책을 소개합니다.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시간의 기원 많은 사람들이 현대 과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스티븐 호킹을 생각한다. 휠체어와 컴퓨터를 통해 세계와 교류한 그의 이미지는 생생하다. 그는 “시간의 시작과 끝에 대한 연구로 2020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을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음에도 노벨상을 수상하지 못한 것이 놀랍다. 그의 업적은 천체물리학 분야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호킹은 “우주가 왜 생명에 우호적인가?”라는 질문을 남긴 채 2018년에 세상을 떠났다. 2023년, 그의 연구 파트너 토마스 헤르토흐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공개했.. 2024. 1. 9. 박귀현, < 집단의 힘 > 인간은 집단 지성을 통해서 성장해 나갔습니다. 인간은 집단의 힘을 결집함으로써 문화를 발전시켜 나갔죠. 바로 그러한 인간 지성의 힘에 대해 이야기하는 저작입니다.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집단의 힘 《집단의 힘》은 경영과 집단심리학의 교차점에서 박귀현 교수의 깊은 통찰을 담은 작품이다. 박 교수는 호주국립대학교의 경영학 전문가로, 그의 저서는 집단 내 개인들의 심리와 그들이 어떻게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이 책은 전 세계 다양한 조직과 팀에 대한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박 교수는 그의 경력 동안 미국, 호주, 싱가포르, 베트남 등에서 팀 운영과 조직 내 창의성 향상에 대한 중요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의 작품은 심리학, 인류학.. 2024. 1. 9. 이전 1 ··· 78 79 80 81 82 83 84 ··· 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