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기심의 권력으로 읽는 세계사: 한중일 편 에 대해 소개합니다.
그럼 책의 내용을 살펴 볼까요!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효기심의 권력으로 읽는 세계사: 한중일 편
세계사를 탐구할 때, 동아시아의 역사는 우리에게 가장 예민하게 다가온다. 일본의 일제강점기로 인한 상처가 아직도 생생한데다가, 중국의 동북공정 작업으로 한중 간의 역사적 논쟁 역시 불붙어 있다.
고대부터 중국은 조공책봉관계를 통해 한반도에 영향력을 행사해왔고,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권력의 욕구로 한반도를 전쟁터로 만들었다. 조선은 명나라와 청나라 사이에서 입장을 결정하지 못하다가 병자호란과 같은 수치스러운 사건을 겪었으며, 근대에 들어와 일본 천황과 군부의 손에 국권을 상실했다.
이 책은 동아시아 역사의 진실을 밝히며, 왜 중국과 일본이 한반도를 침략했고, 한반도 국가들은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파헤친다.
서평
광개토대왕의 조공 이유와 고대 중국의 중심성
고대 중국은 세계의 중심이라고 여겨지며, 동서남북의 다른 국가들을 각각 동이, 서융, 남만, 북적이라고 불렀습니다.
이 중, 한나라는 조공책봉 전략을 통해 이러한 중국의 영향력을 다루었습니다. 고대 동아시아에서 조공책봉관계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졌습니다. 강대한 국가에게 복종하여 손해를 피하기 위해 조공책봉 관계를 맺는 것이었습니다.
한나라마저 흉노에게 조공을 바친 적이 있었습니다. 한반도의 다른 국가들도 다양한 이유로 중국과의 조공책봉관계를 맺었습니다.
조선의 사대주의의 시작
조선의 역사에서 명나라와 조선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두 나라는 유교를 통치의 기반으로 삼았습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명나라에 대한 사대주의가 차츰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조선과 명나라는 적대적인 관계였으며, 요동정벌 전쟁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조선의 정치와 외교 활동에는 사대주의가 깊이 배어 있었으며, 조선은 명나라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임진왜란 이후에 더욱 확고해졌습니다.
임진왜란과 동아시아의 변화
임진왜란은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 중 하나였습니다. 이 전쟁으로 인해 조선, 일본, 명나라는 모두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로 인해 동아시아는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조선은 국력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걸리며 명나라에 의존하게 되었고, 명나라는 국력이 떨어지면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자성과 여진족에 의해 명나라는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21세기의 권력자와 '믿고 싶은 것'
동아시아의 권력자들은 사람들이 믿고 싶어 할 명분을 제공해왔으며, 이러한 명분을 통해 권력을 유지해왔습니다. 이런 현상은 현대에도 이어지고 있으며, 정치 영역에서도 극단적인 유권자들이 후보를 종교처럼 추앙하며 그들을 지지합니다.
그러나 역사를 통해 보면 권력자들은 종종 명분을 앞세우며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현대의 권력자들도 '믿고 싶은 것'을 앞세우며 권력을 유지하려고 할 수 있으므로 독자들은 비판적으로 정보를 검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