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정재훈, <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 >

by 정보탐색대 2024. 3. 14.

정재훈&#44; &lt; 0.6의 공포&#44; 사라지는 한국 &gt;
정재훈, <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 >

 

0.6.... 한국의 출생률입니다. 둘이 만나서 0.6...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인데요.

그 속도는 다른 어떤 나라보다 빠릅니다 ㅠㅠ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도대체 뭘 해야 할까요. 이 책을 통해 알아봅시다.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

 

삶을 풍요롭게 하는 다양한 교양 지식을 한 곳에 모은 '인생명강' 시리즈의 스무 번째 작품이 세상에 나왔습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교수진이 선사하는 매력적인 지식의 세계로의 초대장, 이번 책에서는 역사부터 철학, 과학, 의학, 예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명강의들을 담았습니다.

 

이 시리즈는 독자들에게 일상에서 필요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오늘 하루를 지혜롭게 살아가는 법과 내일을 예측하는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뿐만 아니라, 책을 넘어 온라인 강의, 유튜브, 팟캐스트를 통해서도 최고의 지식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양 브랜드입니다.

 

『0.6의 공포, 사라지는 한국』은 정재훈 교수의 첫 저서로, 사회복지 분야에서 활약하는 그의 경험을 담고 있습니다. 노무현, 문재인 정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윤석열 정부에서도 활동 중인 그는 한국의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는 한국에서 저출산 현상이 발생한 원인을 삶의 질과 경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단계적이고 포괄적인 방안을 제시합니다. 저자는 우리 사회에 필요한 변화를 이끌어갈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과 그 근거를 독자들에게 제공하려 합니다.

 

 

 서평

 

2000년대 초반, 대한민국은 저출산·저출생의 문턱을 넘어섰다. 2004년에는 합계출산율이 1.18이었으나, 2015년 이후 급감하여 2023년에는 0.7까지 떨어졌습니다. 같은 기간 출생아 수도 45만 명에서 30만 명 이하로 줄어들며,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으로 추락했습니다. 정부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통해 다양한 대책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은 계속해서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이런 현상이 왜 문제일까요? 출생아 수 감소는 취업 인구 감소, 고령 인구 증가, 군 병력 부족, 지역 상권 축소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문제를 야기합니다. 더불어, 사람들 사이의 격차가 심화되며, 저출생 현상은 한국 사회를 각자도생의 방향으로 몰아가고 있습니다.

 

저출산 문제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과거 저출산 대책은 주로 출산 장려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한국 사회의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저출생의 근본 원인은 낮은 삶의 질에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개인의 삶을 우선시하게 됩니다.

 

돌봄 공백도 큰 문제입니다. 영유아기 돌봄 체계는 개선되었지만, 초등학교 입학 이후 돌봄의 부재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출산은 여성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오며, 여성의 역할과 성별 임금 격차, 경력 단절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듭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의 대대적인 변화가 필요합니다. 서유럽 복지국가의 사례를 참고하여, 사회적 돌봄 체계와 사회보장제도를 강화해야 합니다. 저자는 인구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으로 접근하여, 사회적 돌봄 체계 완성, 주거 및 현금 지원 확대, 성평등 기반의 문화 환경 개선 등을 제안합니다.

 

이 모든 노력이 결합될 때, 현재의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으며, 저출생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다고 저자는 강조합니다.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대책이 모여, 결국 대한민국의 미래에 희망의 빛을 비출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