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럴 링크 는 요새 일론 머스크도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핵심 기술이죠.
이 책에 대해 알아봅시다!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뉴럴 링크
2023년 1월, 뇌공학 분야의 선도 기업인 싱크론은 중증 마비 환자들의 뇌에 '스텐트로드'라 불리는 혁신적인 칩을 이식하는 수술을 2021년에 성공적으로 진행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같은 해 5월,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뉴럴링크는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처(FDA)로부터 임상시험 승인을 받았다고 밝혔으며, 2024년부터 '링크(Link)' 칩의 이식 수술을 시작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또한 10월에는 메타(구 페이스북)가 인간의 뇌가 인식하고 처리하는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술에 성공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싱크론은 최근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와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로부터 약 7,500만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으며, 커널은 인간의 인지 능력을 증강시키는 '해마 칩' 연구개발에 이미 2억 3,000만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처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이 기술에 대한 오해와 과장, 비난이 섞여 있어 일반인이 그 실상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BCI 연구를 시작하고 2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저자는 이러한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BCI의 기본 원리부터 최신 현황, 미래 시나리오까지 제시합니다. BCI 기술은 침습형과 비침습형의 두 가지 방식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이미 상용화된 뇌파 기기들과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기술들에 대해서도 설명하며, 이 기술이 의사소통이 어려운 환자들뿐만 아니라 교육, 게임, 스포츠, 문화 산업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또한 BCI 기술이 가져올 미래에 대한 최고의 뇌공학자들과 미래학자들의 예측을 소개합니다.
뉴럴링크는 2019년 7월, 지난 2년 간의 연구 결과를 소개하는 발표회를 개최했으며,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통해 20만 명이 넘는 시청자와 소통했습니다. 2020년 8월에는 돼지의 뇌에 전극을 이식하고 이를 컴퓨터와 연결하는 기술을 성공적으로 시연했습니다.
이후 4년이 지난 현재, BCI 기술은 더욱 발전하여 완전감금증후군 환자와의 의사소통, 마인드 업로딩, 드림 레코딩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BCI 기술의 기본 원리부터 최신 현황, 미래 예측 시나리오까지 광범위하게 다루며, 뉴로마케팅, 뉴로피드백, 전자두뇌, 수동형 BCI, 심부뇌자극 기계, 인공 두개골 등의 혁신 기술을 포함해 BCI 기술이 우리의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탐구합니다.
서평
2011년,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의 시어도어 버거 교수팀은 쥐에게 MK801이라는 약물을 주입하여 실시한 실험에서 중요한 발견을 했습니다. 이 약물을 투여받은 쥐들은 기억력을 측정하는 '지연 표본 불일치' 과제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이들 쥐의 해마에 작은 칩을 이식한 뒤에는, 마치 약물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처럼 과제를 잘 해냈습니다. 이는 소위 말하는 '해마 칩'의 탄생 순간이었습니다.
버거 교수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추가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에는 정상적인 쥐에게 해마 칩을 이식하여 실험했는데, 칩을 이식하지 않은 쥐들보다 기억 과제를 더 잘 수행하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이로써 해마 칩이 알츠하이머 등으로 기억력이 저하된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사람들의 기억력을 개선할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실제로 버거 교수팀은 사람의 뇌에 이식 가능한 해마 칩 개발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를 시작했으며, 이 프로젝트는 약 3,000억 원에 달하는 투자금을 유치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처럼 브레인 칩이나 뇌파를 이용해 지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현재 빠르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베르니케 영역이나 배측전전두피질 등 특정 뇌 영역을 활성화시켜 집중력, 암기력, 언어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은 이미 상용화 단계에 이를 정도로 발전했습니다.
더 나아가, 전기 자극을 이용해 괴로운 기억을 지우거나 우울감을 줄이고 쾌락을 생성하는 심부뇌자극 기계는 윤리적인 측면에서도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책의 마지막 부분인 '비욘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에서는 이러한 인지 능력 향상과 감정 조절 기술뿐만 아니라, 인공지능과 뇌를 연결하거나 뇌와 뇌를 직접 연결하는 뇌 오노가이드, 뇌-뇌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해서도 집중적으로 다룹니다.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과 뇌과학 기술은 우리에게 어떤 미래를 가져다줄까요? 이 책은 뇌공학자, 뇌과학자, 미래학자들의 의견을 통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의 밝은 전망과 함께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어두운 미래, 노동시장과 사회구조의 변화, 새로운 산업의 출현 등 네 가지 미래 시나리오를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