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아마존의 목소리 라는 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아마존의 목소리
기후 위기 시대에 원주민이 제안하는 반인류학적 접근. 재난과 위기, 세계 종말에 대한 익숙함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 문명에 대한 원주민의 강한 비판을 담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생태학적 재앙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국제 사회는 미래의 재난을 방지해야 한다는 데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재난에 대한 공포나 위기 의식이 아닌, '익숙함'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우리는 왜 세계 종말에 대해 이야기하면서도 실제로는 그러한 종말이 우리에게 닥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이러한 망각과 익숙함은 어디서 비롯되는가?
브라질의 크레나키 원주민 지도자 아이우통 크레나키는 수십 년 동안 원주민 운동을 이끌어왔다. 그는 백인 자본주의 문명이 제시하는 세계 종말 담론을 비판하며, 그들의 폭력적 지배와 생태학적 파괴로 인해 원주민 세계는 이미 오래전에 종말을 맞이했다고 주장한다.
그는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을 포함한 여러 연설과 강연을 통해 이미 종말을 경험한 원주민의 관점에서 현대 문명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원주민들은 여전히 그 종말의 과정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인 자본주의 문명에 예속되는 것을 거부하며 강인하게 저항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크레나키는 '이미 시작된 종말을 늦추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한다. 이 작은 책에는 원주민의 지혜와 격언이 단순히 담겨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현재 속해 있는 이 세계(문명)를 벗어나 '다른 세계가 되어' 인간이 직면한 생태학적 위기를 바라보도록 하는 급진적인 경험이 제공된다.
이는 책의 핵심인 반인류학적 관점을 통해, 원주민이 그들 고유의 방식으로 구축해 온 서구인에 대한 인류학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크레나키의 인도를 통해 우리는 우리가 속한 문명 세계의 기반과 근거를 직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서평
기후변화 시대에 원주민이 전하는 역-인류학적 메시지: 재앙과 위기, 종말에 이미 익숙해져버린 현대 문명에 대한 강렬한 질책. 생태학적 위기가 세계적으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는 가운데, 국제사회는 앞으로 다가올 재앙을 방지해야 한다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재앙에 대한 공포나 위기감보다 오히려 ‘익숙함’이 더 강화되고 있다는 역설. 왜 우리는 세계의 종말에 대해 논하면서도, 실제로 우리에게 그러한 종말이 닥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가? 이러한 망각과 익숙함의 근원은 무엇인가?
브라질 크레나키 원주민 지도자 아이우통 크레나키는 수십 년 동안 원주민 운동을 이끌며 백인 자본주의 문명의 종말론적 담론을 비판하고, 그들의 폭력적 지배와 생태살해(ecocide)로 원주민 세계가 이미 오랜전에 종말을 경험했다고 강조한다. 크레나키는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 등의 연설과 강연을 통해, 이미 종말을 겪은 원주민의 시각에서 현대 문명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 원주민들은 백인 자본주의 문명의 예속을 거부하며 강력히 저항하는 동시에, 그 종말의 과정 속에서도 여전히 살아남아 싸우고 있다.
크레나키는 ‘이미 시작된 종말을 늦추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하며, 이 작고 소박한 책에 담긴 방법과 실천들이 단순한 원주민의 지혜나 격언을 넘어, 현 세계(문명)를 벗어나 다른 세계가 되어 생태학적 위기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하는 급진적 경험을 제공한다. 이는 역-인류학적 관점을 통해, 원주민이 구축한 서구인에 대한 인류학을 통해 우리가 속한 문명의 기반을 직시하게 한다.
1980년대부터 원주민 운동에 참여해온 크레나키는 2019년 자신의 강연문 세 편을 모아 《세계의 종말을 늦추기 위한 생각들》을 출간했고, 이 책은 국제적인 반향을 일으켰다. 한국어판은 크레나키의 강연과 텍스트에 대한 다양한 학자들의 응답을 담아 원서의 의미를 확장하고 심화시키며, 관련 텍스트를 번역하거나 새로운 텍스트를 실었다.
이 책은 생태학적 위기와 위기 담론의 근본적 문제를 짚어내며, 크레나키의 비판적 역량을 극대화하고, 기존 논의와 담론을 비판하며 기후협상 등 국제정치적 문제에 접근한다. 원주민의 역-인류학적 관점을 통해, 자연과 인간, 문화와 자연의 구별 없는 세계, 모든 존재자가 서로 관계 맺는 세계를 탐구하며, 문명인이 파괴한 대지와 마주하도록 한다.
이 책은 원주민의 지속적인 저항과 생명유지 방식, 그리고 문명 세계가 생태살해와 종족살해를 일삼으며 종말을 앞당기는 모습을 비판한다. 동시에 원주민과 토착민 집단들이 여전히 살아있으며, 인류에 대한 다른 진실들을 들려주고 있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크레나키의 메시지는 문명인들이 단일한 역사와 문명 대 야만의 이분법에 기반한 ‘인류’의 역사에 저항하며, 다양한 삶과 존재 양식을 통해 세계의 종말을 늦출 수 있는 힘을 발전시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