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매슈 데드먼즈, < 미국이 만든 가난 >

by 정보탐색대 2023. 12. 2.

매슈 데드먼즈&#44; &lt; 미국이 만든 가난 &gt;
매슈 데드먼즈, < 미국이 만든 가난 >

 

미국이라는 나라는 참 신기하죠. 수많은 부자들이 있지만, 그것보다 훨씬 많은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나라입니다.

이러한 미국의 모순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하는 책, '미국이 만든 가난'을 소개합니다.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미국이 만든 가난

 

매슈 데즈먼드, 프린스턴 대학교의 사회학 및 문화인류학 교수, 그의 저서 "쫓겨난 사람들"로 2016년의 탁월한 저술가로 폭넓은 칭찬을 받았다.

 

이 책은 도시 빈민층의 주거 문제를 탐구하며, "지난 100년간 최고의 논픽션" 및 "역사상 최고의 사회정책 도서" 등으로 평가되며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그의 이전 작품에서 제시한 "가난을 이해하려면 가난한 사람들만이 아닌 그 너머를 봐야 한다"는 주제를 계승하며, "왜 이토록 부유한 나라에 가난이 많은가?"라는 질문을 통해 사회적 차원에서 빈곤 문제를 심도 있게 분석하고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그의 최신작 "미국이 만든 가난"은 아르테 필로스 시리즈의 25번째 도서로 출간되어, 출간 즉시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와 아마존 사회학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이 책은 이코노미스트, 가디언, 타임, 네이션, 뉴요커 등 여러 매체의 추천을 받았으며, "빈곤이 어떻게 쉽게 사라질 수 있는지 설명하고, 그 해결책을 매우 구체적이고 현명하게 제시한다"는 평을 받았다.

이 책은 정치적 지향에 관계없이 모두가 주목해야 할 중요한 질문들을 던진다.

 

저자 데즈먼드는 "쫓겨난 사람들"의 연구 방식을 확장하여, 특정 도시의 가난한 가족들의 삶을 추적하는 문화기술지 대신, 사례 연구, 보고서, 통계 등을 통해 더 포괄적인 설명을 시도한다.

 

그의 연구는 주석을 통해 학술적으로도 탄탄한 근거를 제시하며, 동시에 가난 종식을 위한 강력한 선언문 역할을 한다.

이 책은 "빈곤 문제의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왜 여전히 답보 상태인지"에 대해 명쾌하게 답하며, 빈곤 문제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다.

록산 게이와 앤 패칫도 평한 바와 같이, 이 책은 분노와 희망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필체로 우아하고 섬세하게 집필되었다.

 

 

  서평

 

미국이라는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나라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왜 더 높은 빈곤율을 기록하고 있는지, 매슈 데즈먼드의 저서는 이 질문에 대한 심도 깊은 탐구를 제공한다.

이 책에서는, 미국 사회 내부의 구조가 어떻게 가난한 사람들을 더욱 궁핍하게 만들고 있는지를 선명하게 드러내며, 이러한 현상이 고의적인 "착취"와 무의식적인 "혜택 외면"을 통해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가난한 사람들의 삶에 깊이 파고들어, 그들의 현실을 사회과학 연구와 결합하여 분석한다.

그는 빈곤이 노동, 주택, 금융, 복지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가난한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고, 부유한 사람들에게 이익을 안기는지를 상세히 탐사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단순히 정부 정책이나 기업의 악덕에만 국한되지 않고, 일반 대중, 즉 "우리"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가난의 문제가 우리 모두의 일상적인 결정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가난을 종식시킬 수 있는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데즈먼드는 특히 가난의 문제를 사회 전반의 문제로 확장시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원조의 실효성 증대, 세금 정책의 개선, 노동자 권리 증진 등을 포함한 다각도의 접근을 강조한다.

그는 또한 사회 구조적 변화를 통해 가난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안하며, 이러한 변화가 실현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한다.

 

이 책은 미국의 빈곤 문제를 깊이 있게 분석하며, 이 문제에 대한 사회적 책임과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

가난의 문제가 단순히 물질적인 결핍이 아니라, 더 깊은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이 책은 미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빈곤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빈곤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