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보 로망이라고 하죠, 항상 새로운 실험을 했던 소설가 알랭 로브그리예의 '진' 이 출간되었습니다.
자, 그의 책 속으로 들어가 보시죠!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진
『진』, 알랭 로브그리예의 1981년 작품, 누보로망의 획기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이 소설은 젊은 여성 주인공 진Djinn의 이중적 매력과 청년 시몽 르쾨르의 사라짐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기묘한 인물들과 방향을 잃은 이미지들이 얽혀있다.
혼란스러운 시공간 속에서 주인공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점점 의심하게 된다.
이 작품은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의 프랑스어 교수 이본 레너드의 요청으로 프랑스어 교육용 텍스트로 시작되었으나, 예술적 가치를 갖춘 소설로 발전하였다.
여덟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랑스어 문법의 난이도가 점진적으로 상승한다. 로브그리예는 노년에도 새로운 시도를 멈추지 않는 실험정신을 보여준다.
서평
알랭 로브그리예는 누보로망 문학의 선두주자로, 그의 작품들은 전통적인 서술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식을 제시한다.
그의 대표작인 『고무지우개』로 1954년 페네옹상을, 이어서 『엿보는 사람』으로 1955년 비평가상을 수상하며 명성을 쌓았다.
로브그리예는 줄거리나 인물 묘사를 전통적인 방식으로 다루지 않고, 시각적이고 객관적인 방식으로 접근함으로써 기존 소설에 대한 반란을 일으켰다.
그의 작품은 전지적 작가의 관점을 버리고, 누보로망, 즉 '반소설'의 방식을 채택했다.
로브그리예는 자신의 문학 실험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전 세계를 돌며 강연을 했다.
특히, 그의 한국 방문은 '누보로망과 누보시네마', '누보로망에서 새로운 자서전으로'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한국 독자들과도 만났다.
그의 작품 『진』은 이러한 국제적 활동의 일환으로 탄생했다.
로브그리예는 미국 대학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면서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재를 찾지 못한 경험에서 영감을 얻어 이 소설을 집필했다.
이 책은 프랑스어 문법을 점진적으로 도입하는 형식으로 작성되었으며, 문법적 난이도가 점차 증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로브그리예는 『면접』이라는 제목으로 이 책을 처음 출간했으며, 나중에 연습문제를 제거하고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추가해 『진』으로 재출간했다.
『진』은 전통적인 누보로망 작품의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독특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소설은 시공간의 혼란과 모호한 캐릭터 설정, 반복되는 이미지 등으로 독자들에게 몽환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로브그리예는 시나리오 작가이자 감독으로도 활동했으며, 『진』은 그의 이러한 배경을 반영하여 영화와 같은 생동감 있는 상황을 연출한다.
이 책은 1993년 세계사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새로운 번역으로 30년 만에 다시 출간되어 그 의미가 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