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이클 본드, < 팬덤의 시대 >

by 정보탐색대 2023. 12. 10.

 

마이클 본드&#44; &lt; 팬덤의 시대 &gt;
마이클 본드, < 팬덤의 시대 >

 

팬덤의 시대, 정말 그렇습니다.

정치인이든 방송인이든... 심지어 유튜버를 하는 개인이든...

많은 사람들이 팬덤의 논리에 의해 움직이지요.

이런 시대에 유용한 책이 나왔네요!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팬덤의 시대

 

최근의 사회는 '팬덤'이라는 현상 없이는 이해하기 어려운 면모를 보이고 있다.

K-pop의 전 세계적 인기, 정치적 팬덤의 부상, 중년층의 문화적 소비 증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팬덤 문화가 어떻게 주류로 자리 잡았는지는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이에 관한 《팬덤의 시대: 개인과 사회를 움직이는 소속감의 심리학》은 팬덤 문화가 어떻게 개인의 정체성 형성과 깊은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이가 사회적인 운동, 예컨대 반정부 시위나 극우주의 부활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한다.

 

이 책은 팬덤이 때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동시에 파괴적인 면모를 가질 수 있음을 설명한다.

21세기의 팬덤 문화를 깊이 있게 다룬 이 책을 통해 현대 사회를 움직이는 인간 심리의 복잡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서평

 

현재 우리 사회는 각자가 개인주의 시대를 살고 있다고 말하면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팬덤의 활동이 점점 더 강력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정치적 팬덤은 중요한 정치적 자산이 되었고, 예술가 임영웅의 중장년층 팬덤은 문화 소비의 풍경을 바꾸었다. 이런 현상은 단순히 개인의 취향이나 신념을 따르는 것을 넘어서,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팬덤의 시대: 개인과 사회를 움직이는 소속감의 심리학》의 저자 마이클 본드는, 이 책을 통해 21세기를 이해하는 데 있어 '팬덤'과 '소속감'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케이팝부터 극우주의 부활에 이르기까지, 최근 몇 년간 팬덤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은 세계적 현상들을 다루고 있다.

다양한 팬덤을 다룬 이 책은 사람들이 집단 속에서 어떻게 정체성을 찾고, 어떻게 그 집단이 사회 변화의 중심이 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책에서는 집단의 경계가 그어짐으로써 개인이 자신의 정체성을 정의하게 되는 인간 심리를 탐구한다.

 

또한, 이러한 집단 속에서 개인들이 어떻게 안정감과 목적의식을 얻고, 사회 변화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집단 정체성의 힘은 현대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졌으며, 소셜 미디어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같은 취향을 가진 사람들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이 책은 팬덤이 집단에 대한 비합리적인 충성심을 만들어내기도 하지만, 동시에 사회적 진보를 위한 강력한 힘을 제공한다는 것을 다룬다.

즉, 팬덤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들이 어떻게 이동하고 행동하는지에 따라 사회가 어떻게 변화할지가 결정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