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비부머가 노년이 되었습니다 는 사회학자가 쓴 에세이집입니다.
이 책에 대해 알아보죠!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베이비부머가 노년이 되었습니다
사회학자 김찬호는 60세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여 자신의 첫 노년 에세이를 출간했다. 이 책에서는 인생의 후반부를 안내하는 핵심 단어들을 통해, 인간의 생애 경로와 나이 듦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저자는 수많은 강연과 글을 통해 쌓아온 지식과 베이비부머 세대의 일원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 눈물, 망상, 응시, 줏대, 경청, 탐구, 복지, 유산, 후회 등 40개의 단어로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는 품위 있게 나이 들고자 하는 이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인생의 지침서가 될 것이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전쟁의 여파가 아직 남아있던 시기에 태어나, 경제적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경험하며 성장한 세대다. 이들은 기성세대와는 다른 자신들만의 정체성을 1970년대 대중문화 속에 반영하며, 1980년대에는 민주화 운동을 이끌며 정치적으로도 영향력을 발휘했다. 그러나 IMF 금융위기와 같은 큰 위기를 경험하며 시련도 겪었다.
현재 이 세대는 노년기로 접어들며 불안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사상 초유의 속도로 진행되는 고령화 사회에서 수명은 길어지고 있지만, 여생을 어떻게 보낼지에 대한 명확한 방향성은 부족하다. 젊은 시절 기존 세대와는 차별화된 문화를 경험했던 것처럼, 베이비부머는 노년기에도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과 문화를 창출해낼 수 있을지 주목받고 있다. 이들의 노년기는 그들이 젊은 시절 만들어낸 변화와 마찬가지로 현대사에 또 다른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서평
이 책은 인생 후반전을 건너야 할 사람들을 위한 깊은 성찰과 지침을 담고 있다. '스토리텔링', '망상', '줏대', '후회' 등 마흔 가지 열쇠 단어를 통해 펼쳐지는 이야기는 노년을 준비하는 모든 이들에게 마지막 인생 수업을 제공한다.
단순히 경제적 기반과 건강 관리에 국한되지 않는, 삶의 깊은 의미와 행복을 탐구하는 과정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탐색하고, 노년기에 새로운 창조적 삶을 맞이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점검한다.
하지만 이 책이 다루는 주제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정치적 영역에도 미친다. 한국 사회에서 정치가 국민에게 희망을 제공하지 못하는 현실, 진보 세력의 실패, 시민사회의 위축 등은 모두 내면의 황폐화에서 비롯된 문제로 진단한다. 저자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자신들의 기득권에 대해 성찰하고, 아랫세대의 성장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한다.
더 나아가 이 책은 저자 자신의 삶에 대한 확언으로, 존재의 증명에서 벗어나 행복의 새로운 방정식을 찾아가는 여정이다. 사랑과 우정을 중심으로 한 연결의 중요성, 소박한 일상 속에서 원대한 꿈을 키우는 방법, 죽음을 응시하며 현재에 더욱 깊이 몰입하는 삶의 태도 등을 탐색한다.
이 책은 노년을 맞이하는 모든 이들에게 깊은 공감과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며, 삶의 마지막 단계를 의미 있고 충만하게 만드는 데 필요한 지혜를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