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이론 은 평론가 이동진님께서 추천하는 책인데요.
넘 좋은 도서입니다. 그럼 이 책을 보겠습니다.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영화의 이론
다재다능한 지식인이자 뛰어난 에세이스트인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의 대표 저서 "영화의 이론"이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유대계 독일인인 크라카우어는 나치의 추적을 피해 미국으로 망명했으며, 그곳에서 그의 주요 저작 세 권("칼리가리에서 히틀러로", "영화의 이론", 그리고 그의 유작 "역사: 끝에서 두 번째 세계")을 집필했습니다.
특히 "영화의 이론"은 영화 비평과 이론에 새로운 지평을 연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크라카우어는 영화가 가시적인 물리적 현실을 기록하고 드러내는 매체의 본질에 주목했으며, 300여 편의 영화를 분석하여 자신의 주장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했습니다.
과거에는 그의 이론이 과거의 유물로 여겨지거나 순진한 리얼리즘으로 비판받기도 했으나, 현상학적 및 생리학적 접근 방식을 포함한 그의 선구적 사고는 오늘날에도 전 세계 영화 연구자들에 의해 꾸준히 연구되고 있으며 여전히 중요한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루돌프 아른하임, 벨라 발라즈, 앙드레 바쟁과 함께 초기 영화 이론가로 인정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벤야민, 짐멜과 같은 근대성과 대중문화를 탐구한 주요 문화사회학자로서의 학문적 중요성도 강조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비교적 늦게 소개되었지만, 2012년 "역사: 끝에서 두 번째 세계"가 소개된 이후, "칼리가리에서 히틀러로"와 이제는 "영화의 이론"까지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면서 크라카우어의 주요 작품들이 모두 한국어로 읽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바이마르 시대의 초기 작품들도 국내 출간을 앞두고 있어, 크라카우어에 대한 더 활발한 독서와 입체적인 연구가 기대됩니다.
서평
지크프리트 크라카우어의 관점에서 볼 때, 영화는 근본적으로 사진의 확장판이며, 두 매체는 서로 유사한 특징을 공유합니다. 그는 영화가 리얼리즘적 경향과 조형적 경향 사이에서 리얼리즘을 더 선호한다고 봅니다. 이 책에서 크라카우어는 실험영화, 환상영화, 역사영화 등 다양한 장르가 영화 매체의 요구를 얼마나 충족하는지 탐구합니다. 또한, 유성영화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대화, 소리와 이미지의 동기화, 음악의 역할 등에 대해서도 논의합니다.
크라카우어에 따르면, 영화는 물리적 실재, 즉 거리의 군중, 뜻밖의 동작, 흘러가는 인상과 같은 것들을 우선시합니다. 카메라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지 못하는 현상들을 포착하여 보여줍니다. 이는 영화가 현실의 특수한 측면을 드러내는 독특한 매체임을 보여줍니다. 크라카우어는 영화가 삶의 흐름, 무한성, 불확정성 등을 통해 본질적 특성을 구현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책은 또한 현대 사회에서 영화가 어떻게 사람들이 삶과의 직접적인 감각적 접촉을 재개할 수 있게 하는지 탐구합니다. 크라카우어는 카메라가 우리 의식의 편견을 넘어서는 방식으로 현실을 포착한다고 말합니다. 이는 영화가 물리적 현실을 '구원'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마지막으로, 크라카우어는 영화가 현실에서는 너무 끔찍해서 바로 볼 수 없는 것들을 우리에게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그런 현상을 대면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고 설명합니다. 그는 영화가 일상적인 삶의 물질적 측면을 기록하는 유일한 매체로서, 영화적 경험이 관객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합니다. 이러한 점들을 통해, 크라카우어의 이론은 영화가 단순한 엔터테인먼트를 넘어서는 깊은 문화적, 사회적 의미를 지닌다는 것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