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세계사 라는 책!
부는 어떻게 생겨난 것이며,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이 책을 보면 모든 것이 나와 있습니다!
그럼 책을 보시죠~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부의 세계사
"부의 세계사" 저자인 윌리엄 번스타인은 450년 전부터 경제학자들과 역사학자들에게 끊임없는 고민거리였던 난제들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며, 오늘날의 풍요가 어떻게 생겨나고 왜 발생했는지에 대한 원천을 탐구합니다.
"군중의 망상" 저자로 국내 독자들에게 잘 알려진 그는 방대한 역사 자료를 수량 경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경제사학자로서의 능력을 훌륭하게 발휘합니다.
18세기 네덜란드와 영국에서 시작된 부의 발전이 어떻게 미국으로 이어졌는지, 프랑스와 스페인이 많은 식민지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계 주도권을 얻지 못한 이유, 아시아 국가들인 한국, 일본, 홍콩, 싱가포르 등이 경제적으로 빠르게 성장한 원인, 그리고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중동 국가들이 여전히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를 저자는 재산권, 과학적 합리주의, 자본시장, 교통과 통신 발전 이라는 네 가지 관점을 통해 분석하여 인류 문명의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탐구합니다.
미국의 경제적, 군사적 지배가 언제까지 지속될 것인가, 이슬람 산유국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한국은 계속해서 성장을 이루어낼 수 있을까, 빈부격차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등의 문제들도 저자가 제시한 네 가지 요소에 대한 이해를 통해 논의되며, 이러한 통찰은 우리 인류와 한국의 미래 방향을 이해하는데 강력한 도움을 줄 것입니다.
서평
17세기 철학자 토머스 홉스는 자신의 시대를 "고독하고 가난하고 추악하고 잔인하고 짧은 삶"으로 묘사했습니다. 그러나 19세기 초부터 경제성장과 기술의 폭발적인 발전으로, 인류는 더 이상 홉스가 묘사한 가난한 삶을 살지 않게 되었으며, 비록 비관적인 전망도 있지만 세계는 갈수록 풍요로워졌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질문이 있습니다. 왜 어떤 나라는 부유하고, 어떤 나라는 가난한 것일까요? 국가와 사회적 부의 확대와 개인의 행복 간에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요?
과거 두 세기 동안 세계는 엄청난 번영을 경험했지만, 이러한 과정은 균일하지 않았습니다. 18세기 초에 이미 빠르게 성장을 시작한 국가들도 있었지만, 성장이 뒤늦게 시작되거나 전혀 일어나지 않은 국가들도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부와 가난 사이에 큰 격차가 발생했습니다. 1500년 경에는 이탈리아와 가난한 국가 간의 1인당 GDP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1998년에는 미국과 가난한 국가 간의 차이가 엄청 커졌습니다. 이러한 격차가 왜 벌어진 것일까요? 이러한 불균형이 지구상에서 어떤 갈등을 초래했을까요?
윌리엄 번스타인은 450년 전으로 돌아가서, "재산권", "과학적 합리주의", "자본시장", "운송과 통신의 발달"이라는 네 가지 중요한 요소로 인류의 경제성장과 사회적 풍요의 원천을 분석합니다. 그는 역사적 사실과 경제학 데이터를 토대로,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 뒤쳐진 국가, 성장하지 못한 국가의 이야기를 풍부하게 서술하며, 네덜란드와 영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의 경제 발전 역사부터 이슬람 국가와 라틴아메리카의 역사까지 다룹니다.
번스타인은 현대의 풍요가 탄생한 네덜란드와 영국의 경제 발전 역사를 다루며, 이 나라들의 성장을 따르거나 따라잡는 나라, 아예 성장하지 못한 국가 등을 소개합니다. 그는 역사를 통해 '부의 보물지도'를 제시하며, 이를 통해 미래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번스타인은 현대에도 적용 가능한 네 가지 불씨, 즉 "재산권", "과학적 합리주의", "자본시장", "운송과 통신의 발달"을 강조하며, 현대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힌트를 제공합니다. 이 책은 한국 사회가 경제성장과 사회 발전을 추구하는 데에도 중요한 가이드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