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민병원, < 네트워크 국제정치 >

by 정보탐색대 2024. 1. 7.

민병원&#44; &lt; 네트워크 국제정치 &gt;
민병원, < 네트워크 국제정치 >

 

국제 외교 관계는 모두 네트워크로 이뤄져 긴밀한 공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네트워크 국제정치는 바로 이러한 국제 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높여주는 책입니다.

그럼 책의 내용을 볼까요!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네트워크 국제정치

 

국제정치학은 사회과학 중에서 가장 넓고 복잡한 분야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이 분야는 다양한 이론들이 무수히 존재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국제정치학은 다른 학문 분야에서 가져온 다양한 개념과 이론을 활용하며, 그 중에서도 네트워크 이론은 자연과학, 특히 수학과 물리학에서 비롯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전에는 경제학, 사회학, 인류학 분야에서 네트워크 이론이 사용되었지만, 정치학과 국제정치학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늦게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 책은 국제정치를 이해하는 데 네트워크 개념과 이론이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를 다룹니다. 저자는 국제정치의 핵심 주체와 현상을 네트워크로 이해하려는 관점을 강조하며, 연구 방법론이나 인식론보다는 존재론적인 목표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장에서는 네트워크 이론과 패러다임이 사회과학에서의 의미를 살펴보고, 네트워크 구조가 도입되면서 나타나는 패러독스와 예측 불가능성에 대해 논의합니다.

 

두 번째 장에서는 역사적으로 등장한 제국 네트워크의 정치적 특성을 탐구하며, 세 번째 장에서는 글로벌화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한 네트워크 국가의 모습을 비교 분석합니다.

 

네 번째 장에서는 네트워크 국가의 특성을 규정하고, 국가 역할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메타거버넌스 개념을 중심으로 논의합니다.

 

다섯 번째 장에서는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형태를 탐구하고, 유럽연합을 사례로 소개하며 협력과 이견 조정에 초점을 맞춥니다.

 

여섯 번째 장에서는 전통적인 국가론과 네트워크 국가의 관점을 비교하고, 국제정치의 의미를 재고합니다.

 

일곱 번째 장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평화를 추구하는 데 네트워크 거버넌스 개념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며, 여덟 번째 장에서는 네트워크 패러다임이 국제정치학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전망을 제시합니다.

 

이 책을 통해 네트워크 국가와 국제정치의 변화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