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경태의 본 헌터는, 인류학자인 저자가 한국전쟁의 유골들을 찾고 그것의 정체를 찾아나가는 책입니다.
아주 의미 있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을 보시죠.
* 다른 흥미로운 책이 궁금하신 분은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고경태, < 본 헌터 >
2023년 3월, 충청남도 아산의 성재산에서 신원을 알 수 없는 유골들이 대량으로 발견되었다. 이 유골들은 군용 전화선으로 묶인 손을 가진 채 나란히 누워 있었고, 그 중 한 구의 유골은 양손이 결박된 채 쪼그려 앉아 잠든 듯한 자세로 발견되었다. 이 유골에는 'A4-5'라는 식별 번호가 부여되었다. 이들이 누구인지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다.
《본 헌터》는 고경태 저자가 펼치는 뼈를 통한 증언의 추적, 그리고 한국전쟁 당시 벌어진 민간인 학살 사건을 70여 년이 지난 후에도 추적하는 생생한 역사 논픽션입니다.
고경태는 한겨레 신문사에서 30년 이상을 베테랑 기자로 활동하며 폭력과 억압의 흔적에 주목해왔으며, 이전 작품에서는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사건을 깊이 있게 다룬 바 있습니다. 이번 작품에서는 한국전쟁 기간 동안 일어난 민간인 학살 사건과 국가 폭력 피해자들의 아픔을 심도 있게 조명합니다.
아산에서 유골이 발견된 직후부터 고경태는 아산 발굴 현장과 선주의 연구소를 자주 방문해 취재했고, 이를 바탕으로 6개월 동안 한겨레에 연재한 기획 기사 ‘본 헌터’를 출간하였습니다. 이 책은 민간인 학살 희생자의 유해 발굴 연표, 이름 대조표, 역사사회학자의 발문을 통해 한국전쟁 전후의 민간인 학살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을 추가로 제공합니다.
《본 헌터》는 두 가지 이야기가 교차되는 독특한 구성을 통해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사건의 참혹함과 묻힌 진실을 추적합니다.
하나의 축은 다양한 화자의 시점을 통해 한국 현대사의 아픈 학살 사건을 입체적으로 재현하는 민간인 학살 사건의 이야기입니다. 다른 축은 인골에 대한 순수한 호기심을 가지고 진실을 추적해 온 실존 인물인 ‘뼈 인류학자’ 선주의 이야기입니다.
이 두 이야기는 시공을 초월해 결국 아산 민간인 학살 사건에서 만나게 됩니다. 역사사회학자 강성현이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책은 죽음의 이유와 특징을 탐문하는 ‘다크 투어’ 방식의 교차를 통해 독자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또한, 생생한 현장 사진과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으로 독자들에게 영화를 보는 듯한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서평
이 책은 건조한 독백으로 시작하는데, 그 주인공은 아산의 성재산에서 쪼그려 앉은 채 발견된 유골, A4-5이다. "나는 앉아 있었다. 얼마나 오랜 시간 앉아 있었냐고? 수치로 환산하자면, 63만 4560시간 이상이었다." 이렇게 서두를 연 이야기는 발굴 현장에서 나온 유품들을 통해 이 유골들의 정체를 밝혀낼 단서를 제공한다. 발견된 유품 사이에서 '중' 자가 새겨진 단추가 여럿 나와, 이들 중 일부는 중학생이었음을 암시한다. 이들은 과연 누구였을까? 왜 이들은 산속에서 이런 비참한 최후를 맞이해야 했을까?
그리고 이야기는 전환되어, 사랑이 만발하는 계절의 생기 넘치는 분위기로 이끈다. "사랑이 꽃피는 계절이었다. 싱싱한 초록의 나뭇잎이 연도에 도열해 축하의 박수를 보내주는 것 같았다." 이는 새로운 삶의 시작점에 선 한 청년의 열망과 꿈이 가득한 이야기이며, 인류학자 선주의 이야기다. 이 책은 서로 다른 두 이야기가 교차하면서 진행된다.
한 편은 과거의 뼈아픈 역사와 그 속에서 발견된 유골의 이야기이고, 다른 한 편은 삶과 사랑, 열망이 넘치는 현재의 이야기다. 두 서사는 각각의 시공간을 따라 독립적으로 진행되지만, '뼈의 증언'이라는 공통점을 통해 서로를 향해 점차 다가간다. 이처럼 교차하는 두 이야기는 한국 현대사의 어두운 면, 바로 '민간인 대학살'이라는 고통스러운 사실을 밝혀내는 과정을 그린다.
아산 이야기는 A4-5의 독백으로부터 시작해, 민간인 학살 사건에 얽힌 다양한 인물들의 목소리를 통해 펼쳐진다. 1995년 같은 지역에서 발견된 또 다른 유골, 발굴 현장 담당자 인욱의 증언, 성재산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발견된 '새지기2-1'과 '새지기2-2'의 이야기 등을 통해 당시 학살의 진실에 점점 다가간다. 이와 함께 한국전쟁 당시의 사회·정치적 배경, 가해자와 피해자의 이야기가 조금씩 드러나며, 이는 민간인 학살의 참혹함을 더욱 깊이 있게 다룬다.
선주의 이야기는 그의 결혼과 유학을 앞두고 가득 찬 열정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유년기부터 청년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 선주의 성장과정과 그의 인류학자로서의 열정이 그려진다. 뼈에 대한 호기심과 집념이 그를 인류학자로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선주는 국가 폭력과 집단 죽음의 현장, 민간인 학살 희생자 유해 발굴 현장 등을 방문하며 '진실을 알고 싶다'는 학문적 호기심을 충족시킨다.
이 책은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의 진실을 추적하면서, 이러한 과거의 사건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탐구한다. 역사의 진실을 마주하고, 그 속에서 피해자의 이야기를 복원함으로써 한국 사회가 과거의 침통함을 넘어 새로운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음을 제시한다.